현재 위치
  1. 게시판
  2. EXHIBITION 2011

EXHIBITION 2011

EXHIBITION 2011

게시판 상세
  • 평점 0점  
  • 작성일 2019-05-01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98



아이디어 오브 콤플렉스 

이천년 전 로마 제국의 곳곳에 세워져 있던 원형경기장에서는 경기가 열리는 기간 동안 많은 곳은 하루에 5,000명 정도가 죽어나갔다고 한다. 그들이 흘리는 엄청난 양의 피를 빨아들이기 위해 두터운 모래가 바닥에 깔려 있어 그것을 ‘아레나’(모래)라고 불렀다. 오늘날 경기장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이 단어에는 거대한 탈-현실화의 기억이 새겨져 있다. 이들이 외쳐대던 살육의 요구는 거대한 원형경기장의 구조에 의해 증폭되어 추상적인 음향을 만들어냈을 것이다. 시간적 특이성과 정치를 결합시킨 스펙타클은, 드보르(G. Debord)에 의하면, 바로 이 군중의 시간의 집단적 소모 즉, 시간의 유사순환구조(pseudocyclism)을 만들어내기 위한 의도로부터 출발한다. 거대한 순환적 시간의 가상태(simulacre)를 만들어 그것으로 현실을 대체한다는 이러한 아이디어는 오늘날 자본주의의 근간을 이룬다. 끊임없이 시간은 소비되고 또 생겨난다. 그라시안(B. Gracian)에 따르면 우리가 가진 유일한 것은 시간이기 때문에 (심지어 거지들조차 그것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유사순환구조를 만드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광고를 통해, 연속극을 통해, 월드컵과 올림픽을 통해, 구정과 추석, 때가 되면 돌아오는 보너스 시즌과 세일, 조용할만하면 터지는 사건-사고와 뉴스들을 통해 시간은 유사순환구조로 대체된다.  

정승의 <스펙타클리스 콤플렉스>는 약 2,000개의 ‘노호혼’ 인형들로 이루어져 있다. 노호혼이란 일본의 한 완구회사에서 생산하는 태양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인형이다. 특징은 그저 고개를 까딱거리며 움직이거나 소리를 낸다는 점이다. 정승은 인터넷에서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물건이나 아예 공장에서 도매금으로 떼어 파는 한물 간 제품들을 이용하여 작품을 해왔다. 그가 이 제품들을 구하는 이유는 아주 많은 수의 동일한 산업적 가공품들이기 때문이다. 2009년 작 <서클링 콤플렉스>에서 그는 목이 없는 200여개의 사이클러 자동인형들을 제자리를 끝없이 맴도는 원형트랙 위에 설치한 적이 있다.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 인형들이 내는 소음은 늦여름에 수많은 벌레들이 일제히 울어대는 소리나 수천명의 라마승들이 내는 독경(讀經)소리 같은 것을 연상시켰다. <스펙타클리스 콤플렉스> 역시 반(半) 원형으로 이루어진 계단식의 좌대 위에서 수많은 인형들이 고개를 까딱이며 소리를 내는데, 수없이 많은 인형들의 목이 움직이면서 내는 소리는 거대한 도시의 소음이나 수없이 많은 시계의 초침 소리처럼 들리기도 한다. 계단식 좌대는 로마의 원형경기장처럼 보이기도 하고 혹은 불당(佛堂)에 설치되어 있는 수천 개의 보살들을 모셔놓은 신위(神位)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중 몇몇 개는 내부의 기계적 움직임에 의해 조금씩 흔들리다가 좌대 밑으로 굴러 떨어지는데, 흡사 거대한 순환의 흐름 속에서 탈락하는 비극적 개인들처럼 보인다.

정승의 <스펙타클리스 콤플렉스>는 그것의 존재 자체로서 아이러니를 불러일으킨다. 이 작품은 전체(2,000개의 노호혼들)가 아닌 부분(추락한 노호혼들)을 주목해야 하는 작품이면서 동시에 그것들 전체가 만들어내는 스펙타클에 대한 일차적 감상이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멀티플 레디메이드’의 작가인 정승이 자신이 사용하는 많은 수의 제조업 생산품들을 이용한 작품을 보여줄 때 부딪힐 수 있는 문제는 그것이 쉽게 수적 반복에 의거해 흥미를 일으키는 시각적 모뉴멘트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승은 자신의 작품을 비평과 시각 양면에서 독립적으로 운동하는 구조로 만드는데 성공하고 있다. 작가는 <스펙타클리스 콤플렉스>가 구체적인 개별적 사실들에 대한 관심 대신 거대한 현상의 흐름에만 주목하는 현실에 대해 다루고 있다고 말한다. 심지어 동시대미술마저 예술가들 각각의 창작 정신에 대해 초점을 두기보다는 비엔날레에서처럼 매번 달라지는 포괄적인 테마의 개별적 사례로서 예술가와 작품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 이러한 언급 속에 담겨 있다. 따라서 스펙타클이 될 수 없다면, 전체의 그림을 그리는 수많은 것들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라는 초조감에서 콤플렉스가 싹트기 시작한다. 다른 한편, 시스템의 고도화나 성장이 중시되는 현실 속에서 컨텐츠가 오직 그러한 합목적적인 결과를 위해서만 인정되거나 그 이외의 것들은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질 때 이 시스템 안에서 살아가는 개개인이 느끼는 혼란은 스스로의 존재이유에 대한 부정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동일성의 거대한 틀이 만들어내는 스펙타클은 그것을 구성하는 개별자들을 패턴의 일부로 만든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의미 없는 붕붕거리는 소음은 마치 자본주의적 스펙타클에의 차가운 열광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간적 순환의 ‘옴’(唵, 불교에서 말하는 태초의 소리)처럼 들린다. 역설적인 것은 자본주의적 스펙타클의 진동이 종교적 열락(nirvana)의 신성한 음(音)보다 더 커다란 파동을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개별자들이 스스로 거대한 진동의 일부가 되어야만 한다는 알 수 없는 열정에 사로잡히는 것, 이것이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위대한 효과다. 그것은 가시성이나 가독성(可讀性)을 염두에 둔 소통의 관계 대신 끊임없는 반복과 열정의 소우주를 창출한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이 생산되고 소비되며 또 새로운 것이 기존의 것을 대체하고 빠르게 소멸하는 ‘기관 없는 신체’가 시공간을 가상의 비등점(沸騰點)에서 지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제목은 ‘스펙타클’로부터 배제된, 자신이 속한 자리에서 일탈한 개체들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스펙타클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들은 다름 아닌 예술가로 대변되는 소수의 주체들이다. 이들이 느껴야 하는 콤플렉스는 스스로 자본주의, 혹은 그것에 준하는 열정이 만들어내는 흐름의 바깥으로 탈락되어 있는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태양광 전지를 이용하는 노호혼은 흡사 그것을 둘러싼 공간 전체가 무의미하고 반복적인 움직임의 이유가 되기라도 하듯 그것의 동력을 주변에 산재하는 무형의 빛으로부터 얻는다. 아무리 작은 에너지라 하더라도 그것은 노호혼의 머리를 움직이게 하는데 충분할 것이다. 그것은 빛이 존재하는 한 마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명령처럼 머리를 까딱거릴 것이다. 그것의 유난히 밋밋한 머리에 인쇄되어 있는 고정된 미소는 자신이 받아들이고 있는 운명적인 존재양태를 더욱 극적인 것으로 보여준다. 존재하다는 사실은 빛과 공기처럼 존재하는 것 모두를 부풀린다. 봄에 생명을 내뿜어 겨울에 소멸시키는 자연의 거대한 순환은 모든 개체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존재감을 불어넣는다. 노호혼이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동일한 자연의 요소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는 점이다. 작가가 노호혼을 선택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존재하는 한 끊임없이 고개를 움직여야 한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유진상  
계원예술대학 교수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Spectacleless Complex 혼합 재료 가변사이즈 2011





첨부파일 js-1.jpg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 GALLERY b'ONE 갤러리비원
  • +82. 10.9520.3215
  • gallerybeone@naver.com
  • GALLERY b'ONE 3F. 66 Hoenamu-ro, Yongsan-gu, Seoul KOREA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 66. 3층 갤러리비원